발암
-
아스파탐, 발암 가능 물질로 지정될까? 인공감미료의 위험성과 안전성실시간 이슈 2023. 7. 6. 07:30
아스파탐, 발암 가능 물질로 지정될까? 인공감미료의 위험성과 안전성 세계보건기구 산하 국제암연구소가 아스파탐을 2B군 발암물질로 분류할 예정이라고 보도. 아스파탐이 무엇이고, 어떤 위험성이 있는지 알아보자. 아스파탐은 설탕의 200배 단맛을 내는 인공감미료로, 다이어트 음료나 저칼로리 식품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 로이터통신은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가 아스파탐을 ‘발암 가능’ 물질로 분류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이에 소비자와 식품업계는 혼란에 빠졌다. 아스파탐은 체내에서 소화 과정을 거치며 페닐알라닌, 아스파트산, 소량의 메탄올로 분해된다. 모두 체내에 축적되지 않지만 이 중 메탄올이 포름알데히드와 같은 발암 물질로 바뀔 수 있다는 시각도 있다. 일부 전문가들은 메탄..
-
제로 음료의 위험성, WHO가 밝힌 아스파탐의 발암 가능성실시간 이슈 2023. 7. 1. 10:20
제로 음료의 위험성, WHO가 밝힌 아스파탐의 발암 가능성 설탕 대체 인공감미료인 아스파탐이 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에 의해 발암 가능 물질로 분류될 예정이다. 제로 음료를 즐겨 마시는 소비자들은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최근 건강을 위해 설탕을 줄이고자 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설탕을 빼고 칼로리를 대폭 줄인 ‘제로 음료’의 인기가 계속되고 있다. 하지만 이런 제로 음료에 사용되는 설탕 대체 인공감미료 중 하나인 ‘아스파탐’이 발암 물질로 분류될 예정이라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소비자들의 걱정이 커지고 있다. 아스파탐은 설탕의 200배 단맛을 내는 인공 감미료로, 1965년 미국의 화학자에 의해 발견되었다. 무설탕 음료, 무설탕 캔디, 껌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제로 탄산음료에 많이..